중대선 지도 이미지

중대선 56명이 열람하였으며, 0개의 리뷰가 있습니다.

가로수길명
중대선
가로수길시작위도
35
가로수길시작경도
128
가로수길종료위도
35
가로수길종료경도
128
가로수종류
배롱나무
가로수수량
933
가로수길길이
5
식재연도
2,006
가로수길소개
수종별 색다른 경관을 즐길 수 있음
도로명
중한치길
도장길
도로종류
군도
도로구간
간전운천~중한치
관리기관전화번호
061-780-2554
관리기관명
전라남도 구례군청
데이터기준일자
2023-11-30
제공기관코드
4,870,000
제공기관명
전라남도 구례군

블로그 리뷰

  • 중대선 | 충청수영성과 조선 수군

    없는 중대선이 6척, 추왜별맹선(追며倭別孟船) 6척, 선군(船軍)이 1,766명이었으며, 선직(船直)이 114명이라 기록되어 있다.. ※ 중맹선(中猛船)_ 수영(水營)에 속한 대맹선보다 작고 소맹선보다 큰 전선(戰船)으로 후에 방선(防船)으로 고쳤다. ※ 쾌선(快船)_ 크기가 작고 속력이 빠른 쾌속선 ※ 추왜별맹선(追며倭別...

    유마의 답사 여행(2024-04-30 18:22:00)

  • 중대선 | 수도권가볼만한곳 안산여행 별망성지는 조선시대의 석축 성곽

    정박하며 중대선 5척과 무군선 4척이 있었고 장번수군 8명과 이곳 고을 소속의 각 고을에서 소속된 선군 615명이 배속되어 있었다고 해요. ​ ​ 이곳 석축 성곽길은 폭이 매우 좁네요. 아마도 지형지물을 이용해 석축 성곽을 쌓아보니 어느곳은 성곽 길이의 폭이 넓고, 또 어느 곳은 이렇게 좁게 만들어야 했을 것 같은...

    운유담방(雲流談房)... 내 삶의 에피소드(Episodes)(2021-05-10 08:24:00)

  • 중대선 | 판옥선의 탄생 (1) : 조선 전기의 군선들

    대선·중대선·중선을 조운용과 군용에 겸할 수 있는 배로 개량한 것이다. 크기에 따라 대맹선·중맹선·소맹선이라 했다. 대맹선의 승조원은 80명이며 조운에 운용될 때 조곡 800석을 실을 수 있었다. 중맹선의 승조원은 60명이며 조곡 600명을 실었다. 소맹선의 승조원은 30명이며 조곡 300석을 실을 수 있었다. 맹선...

    혼일사해의 꿈(2012-11-04 13:19:00)

  • 중대선 | ★ 배의 탄생과 역사 알아보기 ★

    꾸민 대형 군선인 과선, 일본 원정전쟁에 사용 된 일본원정선, 운반을 하기위한 초마선, 무역선인 해운선 등 이 있습니다. ​ ​ 조선시대는 조선전기, 조선후기로 나눌 수가 있는데요. 조선전기 세종실록지리지에 나와 있는 군선을 살펴보면, 대선∙중대선∙중선∙병선∙쾌선∙맹선∙중맹선∙별선∙무군선∙선∙추왜별맹선∙추왜별선...

    울산항만공사 공식 블로그(2020-09-21 11:24:00)

  • 중대선 |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배의 탄생과 역사에 대하여

    꾸민 대형 군선인 과선, 일본 원정 전쟁에 사용된 일본 원정선, 운반을 하기위한 초마선, 무역선인 해운선 등이 있습니다. 조선 시대는 조선전기, 조선후기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조선전기 세종실록지리지에 나와 있는 군선을 살펴보면, 대선∙중대선∙중선∙병선∙쾌선∙맹선∙중맹선∙별선∙무군선∙선∙추왜별맹선∙추왜별선∙왜...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공식블로그(2021-07-06 10:32:00)

  • 중대선 | 안산 별망성지[ 別望城址 ]

    실록≫에서는 초지량 만호의 수군은 안산의 사곶(沙串)에 군선을 정박하며, 중대선(中大船) 5척(隻)과 무군선(無軍船) 4척이 있었고, 장번수군(長番水軍) 8명과...존재하였다고 여겨진다. 성안에서 발견되는 유물로 보아 고려 후기부터 약간의 시설이 있다가 해안 방어체계가 갖추어진 조선시대에 더욱 많은 건물 등...

    Sky & blue life(2013-08-11 06:27:00)

  • 중대선 | 남양에서 옮겨와 흔적만 남아있는 인천 영종진(永宗鎭)

    있고, 중대선(中大船) 3척, 맹선(猛船) 1척, 무군선(無軍船) 3척이요, 각관의 좌우진(左右鎭) 선군(船軍)이 총 510명이더라”고 한 것과, “영종포는 포 남쪽에 있으니 수군만호(水軍萬戶)가 이끈다.”는 등의 언급을 통해 늦어도 세종 연간에는 이미 설치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설치된 시기를 역추적해...

    한점구름 블로그(2014-11-18 12:05:00)

  • 중대선 | 원시사회 고대사회 정리

    수렵어로에서 후기 농경발달) ​ *고조선의 세력범위를 알 수 유 있는 유물 (민무늬토기, 비파형동검, 거친무뉘거울, 미송리식토기. 탁자식고인돌) *유적과 관련된 시기(율주반구대, 고령 양전동 알터)-청동기시대 ​ *삼한소도(제정분리 사외유풍으로 천군의 지배하에 있는 지역) *삼한에서 제정이 분리된 이유(농업의 발달...

    솔솔맘의 일상.건강(2020-04-04 13:16:00)

  • 중대선 | 끊겨버린 전통 배의 명맥[김창일의 갯마을 탐구]〈96〉

    조선 후기 국력의 쇠락으로 조선 산업은 몰락의 길을 걸었다. 1910년대 이후에는 개량형 어선 보급 정책이 시작돼 일본식 어선이 점진적으로 증가했다. 일본 정부는 어획량 확대를 위해 도입한 안강망, 건착망, 석조망 등의 일본식 어구 및 어법에 적합한 어선을 늘리려 했다. 명목상으로는 조선 재래식 어선을 개선...

    宅田書窓(2025-01-12 06:52:00)

  • 중대선 | 화성시사 <1편 자연환경과 인문환경, 2장 인문환경, 1절 역사지리>

    있다. 중대선(中大船) 3척, 맹선(孟船) 1척, 무군선(無軍船) 3척이요, 각관의 좌·우령(左右領) 선군(船軍)이 총 510명이다. 라고 소개되어 있어 조선 전기부터 남양이 경기 남부 수로의 요충지의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동국여지승람』은 1481년(성종 12)에 50권으로 완성되었으나, 1485년(성종 16)에 김종직 등...

    채인석의 블로그♥(2015-03-04 16:55:00)

일별 방문 통계

월별 방문 통계

날씨

리뷰 (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