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가로수 길 지도 정보
공공데이터포털 '전국가로수길정보표준데이터', 카카오 '로그인, 지도, 블로그, 검색(이미지)', 네이버 '블로그, 검색(이미지)', Google 로그인 이용하여 개발되었습니다
버전 : 5 / 2024-12-29 03:00:22
화개산복도로길
화개 탑리~쌍계사
'중대선'에서 0.6km
화개 산복도로로 쌍계사까지 이어지며 십리벚꽃길을 바라보는 경관이 좋음
바로가기
화개십리벚꽃길
화개 탑리~화개대성
'중대선'에서 0.8km
수령 70년이상인 왕벚나무로 화개 십리벚꽃길인 이곳은 봄철 많은 관광객이 찾는 곳임
바로가기
하동 진입 왕벚나무길
화개 탑리~금남 노량
'중대선'에서 0.8km
국도 양옆으로 왕벚나무길이 이어져 있어 4월 초 벚꽃으로인한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음
바로가기
연곡사선
토지외곡~내동
'중대선'에서 2.8km
가을을 붉게 물들이는 단풍나무길
바로가기
악양 평사리길
악양 동매~평사리
'중대선'에서 6.9km
악양 평사리길을 따라 이어지는 가로수길
바로가기
간전중앙로
지역아동~효곡교회
'중대선'에서 7.4km
수종별 색다른 경관을 즐길 수 있음
바로가기
회남재길
악양 정동~등촌
'중대선'에서 8.4km
악양 회남재로 이어지는 도로로 가을철 단풍으로 경관을 이룸
바로가기
간전선창길
효곡회관~선창교
'중대선'에서 8.6km
수종별 색다른 경관을 즐길 수 있음
바로가기
십리벚꽃길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로 15
'중대선'에서 1.25km
바로가기
하동 섬진강변길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로 15
'중대선'에서 7.82km
바로가기
회남재 숲길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 삼성궁길 86-15
'중대선'에서 10.02km
바로가기
구례의길(남도이순신길)
'중대선'에서 14.1km
바로가기
구례의길(섬진강길)
전라남도 구례군 간전면 간전중앙로 47
'중대선'에서 14.37km
바로가기
구례의길(지리산둘레길)
'중대선'에서 14.52km
바로가기
남도삼백리길(6코스)
전라남도 순천시 서면 청소길 504-2
'중대선'에서 15.22km
바로가기
감천길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청평역로 97-33
'중대선'에서 19.42km
바로가기
남도삼백리길(7코스)
전라남도 순천시 호남길 52
'중대선'에서 21.85km
바로가기
남도삼백리길(10코스)
전라남도 순천시 서면 북차길 98-36
'중대선'에서 21.89km
바로가기
섬진강 둘레길
전라남도 곡성군 오곡면 기차마을로 232
'중대선'에서 25.37km
바로가기
지리산둘레길 1코스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 외평2길 3
'중대선'에서 26.78km
바로가기
(주)준성리조트
전라남도 구례군 간전면 운천리 453번지
'중대선'에서 2.72km
바로가기
켄싱턴 리조트 지리산 하동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운수리 384-17
'중대선'에서 5.31km
바로가기
스테이지리산아침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마산리 447-5
'중대선'에서 13.23km
바로가기
비바체 하동호 리조트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 상이리 301
'중대선'에서 14.91km
바로가기
구례 지리산 리조트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수월리 58-2
'중대선'에서 15.25km
바로가기
더케이호텔앤리조트(주) 지리산가족호텔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 대평리 729 지리산가족호텔
'중대선'에서 21.25km
바로가기
라온하우스 호스텔
전라남도 순천시 왕지동 14-1
'중대선'에서 23.66km
바로가기
지리산 토비스 콘도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산내면 장항리 221 지리산토비스콘도미니엄
'중대선'에서 25.75km
바로가기
아뜰리에
전라남도 순천시 가곡동 423-5번지
'중대선'에서 26.59km
바로가기
바그 관광호텔
전라남도 순천시 조례동 1690-13
'중대선'에서 26.66km
바로가기
일성지리산콘도미니엄
전북특별자치도 남원시 산내면 대정리 805-1 일성지리산콘도미니엄
'중대선'에서 26.78km
바로가기
머물인 어우림
전라남도 순천시 석현동 593-11
'중대선'에서 26.89km
바로가기
에코라운지
전라남도 순천시 조례동 1587-4번지
'중대선'에서 26.98km
바로가기
농업회사법인이상촌(주)순창지점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545-1
'중대선'에서 48.39km
바로가기
녹원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순창읍 순화리 299
'중대선'에서 48.71km
바로가기
옛날짜장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임실읍 두곡리 26-6
'중대선'에서 58.46km
바로가기
의령소바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서동리 491-30 의령소바본점
'중대선'에서 59.94km
바로가기
전주샹그릴라컨트리클럽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신덕면 지장리 산 7
'중대선'에서 69.6km
바로가기
(주)푸드베네치아하남점
광주광역시 광산구 우산동 1574-8
'중대선'에서 74.45km
바로가기
고구려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두척동 455
'중대선'에서 83.77km
바로가기
무학산오리하우스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교방동 468
'중대선'에서 85.03km
바로가기
하동가 식육식당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월포동 2-121
'중대선'에서 85.57km
바로가기
유로파크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해운동 68 유로스퀘어
'중대선'에서 85.57km
바로가기
대가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자산동 297-6
'중대선'에서 85.72km
바로가기
화개장터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로 15
'중대선'에서 0.66km
바로가기
하동야생차박물관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쌍계로 571-25
'중대선'에서 5.39km
바로가기
최참판댁
경상남도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길 66-7
'중대선'에서 6.68km
바로가기
섬진강어류생태관
전라남도 구례군 간전면 간전중앙로 47
'중대선'에서 6.91km
바로가기
노고단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반곡길 42-237
'중대선'에서 8.59km
바로가기
삼성궁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 삼성궁길 2
'중대선'에서 9.82km
바로가기
운조루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운조루길 59
'중대선'에서 10.08km
바로가기
지리산역사관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화개로 1438
'중대선'에서 12.15km
바로가기
사성암
전라남도 구례군 문척면 사성암길 303
'중대선'에서 12.88km
바로가기
해달별천문대
전라남도 광양시 봉강면 하조길 91-20
'중대선'에서 13.46km
바로가기
화엄사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화엄사로 239
'중대선'에서 14.07km
바로가기
섬진강대숲길
'중대선'에서 14.28km
바로가기
지리산프린스 관광펜션
전라남도 구례군 마산면 황전리
'중대선'에서 13.83km
바로가기
(주)허 브
전라남도 순천시 연향동 1395 - 19
'중대선'에서 28.27km
바로가기
(유)남호관광개발
전라남도 순천시 장천동 115 - 19
'중대선'에서 28.42km
바로가기
(유)하나여행사
전라남도 여수시 선원동 1268 - 2
'중대선'에서 45.12km
바로가기
(주)호남해외관광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2가 7 - 1
'중대선'에서 64.15km
바로가기
(주)광주대한여행사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2가 20 - 2
'중대선'에서 64.17km
바로가기
(유)반도관광여행사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4가 50
'중대선'에서 64.32km
바로가기
(주)광남관광여행사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5가 114 - 5
'중대선'에서 64.63km
바로가기
(주)남해관광
광주광역시 동구 금남로5가 69 - 6
'중대선'에서 64.66km
바로가기
(주)유니버스 항공
광주광역시 북구 신안동 2 - 3
'중대선'에서 64.98km
바로가기
광주 프린스 호텔
광주광역시 북구 운암동 65 - 8
'중대선'에서 67.57km
바로가기
(주)무등파크여행사
광주광역시 서구 치평동 1240 - 10 608호
'중대선'에서 69.97km
바로가기
없는 중대선이 6척, 추왜별맹선(追며倭別孟船) 6척, 선군(船軍)이 1,766명이었으며, 선직(船直)이 114명이라 기록되어 있다.. ※ 중맹선(中猛船)_ 수영(水營)에 속한 대맹선보다 작고 소맹선보다 큰 전선(戰船)으로 후에 방선(防船)으로 고쳤다. ※ 쾌선(快船)_ 크기가 작고 속력이 빠른 쾌속선 ※ 추왜별맹선(追며倭別...
유마의 답사 여행(2024-04-30 18:22:00)
정박하며 중대선 5척과 무군선 4척이 있었고 장번수군 8명과 이곳 고을 소속의 각 고을에서 소속된 선군 615명이 배속되어 있었다고 해요. 이곳 석축 성곽길은 폭이 매우 좁네요. 아마도 지형지물을 이용해 석축 성곽을 쌓아보니 어느곳은 성곽 길이의 폭이 넓고, 또 어느 곳은 이렇게 좁게 만들어야 했을 것 같은...
운유담방(雲流談房)... 내 삶의 에피소드(Episodes)(2021-05-10 08:24:00)
대선·중대선·중선을 조운용과 군용에 겸할 수 있는 배로 개량한 것이다. 크기에 따라 대맹선·중맹선·소맹선이라 했다. 대맹선의 승조원은 80명이며 조운에 운용될 때 조곡 800석을 실을 수 있었다. 중맹선의 승조원은 60명이며 조곡 600명을 실었다. 소맹선의 승조원은 30명이며 조곡 300석을 실을 수 있었다. 맹선...
혼일사해의 꿈(2012-11-04 13:19:00)
꾸민 대형 군선인 과선, 일본 원정전쟁에 사용 된 일본원정선, 운반을 하기위한 초마선, 무역선인 해운선 등 이 있습니다. 조선시대는 조선전기, 조선후기로 나눌 수가 있는데요. 조선전기 세종실록지리지에 나와 있는 군선을 살펴보면, 대선∙중대선∙중선∙병선∙쾌선∙맹선∙중맹선∙별선∙무군선∙선∙추왜별맹선∙추왜별선...
울산항만공사 공식 블로그(2020-09-21 11:24:00)
꾸민 대형 군선인 과선, 일본 원정 전쟁에 사용된 일본 원정선, 운반을 하기위한 초마선, 무역선인 해운선 등이 있습니다. 조선 시대는 조선전기, 조선후기로 나눌 수가 있습니다. 조선전기 세종실록지리지에 나와 있는 군선을 살펴보면, 대선∙중대선∙중선∙병선∙쾌선∙맹선∙중맹선∙별선∙무군선∙선∙추왜별맹선∙추왜별선∙왜...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공식블로그(2021-07-06 10:32:00)
실록≫에서는 초지량 만호의 수군은 안산의 사곶(沙串)에 군선을 정박하며, 중대선(中大船) 5척(隻)과 무군선(無軍船) 4척이 있었고, 장번수군(長番水軍) 8명과...존재하였다고 여겨진다. 성안에서 발견되는 유물로 보아 고려 후기부터 약간의 시설이 있다가 해안 방어체계가 갖추어진 조선시대에 더욱 많은 건물 등...
Sky & blue life(2013-08-11 06:27:00)
있고, 중대선(中大船) 3척, 맹선(猛船) 1척, 무군선(無軍船) 3척이요, 각관의 좌우진(左右鎭) 선군(船軍)이 총 510명이더라”고 한 것과, “영종포는 포 남쪽에 있으니 수군만호(水軍萬戶)가 이끈다.”는 등의 언급을 통해 늦어도 세종 연간에는 이미 설치되어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설치된 시기를 역추적해...
한점구름 블로그(2014-11-18 12:05:00)
수렵어로에서 후기 농경발달) *고조선의 세력범위를 알 수 유 있는 유물 (민무늬토기, 비파형동검, 거친무뉘거울, 미송리식토기. 탁자식고인돌) *유적과 관련된 시기(율주반구대, 고령 양전동 알터)-청동기시대 *삼한소도(제정분리 사외유풍으로 천군의 지배하에 있는 지역) *삼한에서 제정이 분리된 이유(농업의 발달...
솔솔맘의 일상.건강(2020-04-04 13:16:00)
조선 후기 국력의 쇠락으로 조선 산업은 몰락의 길을 걸었다. 1910년대 이후에는 개량형 어선 보급 정책이 시작돼 일본식 어선이 점진적으로 증가했다. 일본 정부는 어획량 확대를 위해 도입한 안강망, 건착망, 석조망 등의 일본식 어구 및 어법에 적합한 어선을 늘리려 했다. 명목상으로는 조선 재래식 어선을 개선...
宅田書窓(2025-01-12 06:52:00)
있다. 중대선(中大船) 3척, 맹선(孟船) 1척, 무군선(無軍船) 3척이요, 각관의 좌·우령(左右領) 선군(船軍)이 총 510명이다. 라고 소개되어 있어 조선 전기부터 남양이 경기 남부 수로의 요충지의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동국여지승람』은 1481년(성종 12)에 50권으로 완성되었으나, 1485년(성종 16)에 김종직 등...
채인석의 블로그♥(2015-03-04 16:55:00)
등록된 리뷰가 없습니다.
첨부파일